위험률 조정·예정이율 변경 상품마다 평균 5~10%↑보험사들은 매년 4월을 기점으로 상품 개정이 됩니다 2016년 시행된 보험산업 자율화 정책이 시행됐지만 올해도 여전히 많은 보험사들이 이달을 기점으로 다음달부터 보험료 인상 준비를 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분석 결과 교보생명은 이달 금리 연동 종신보험의 예정이율을 기존 2.25%에서 2.00%로 낮췄고, 보장성 보험의 예정이율도 같은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예정이율이란 보험사가 가입자로부터 받은 보험료를 운용해 보험금(보상금)을 지급할 때까지의 예상수익률입니다. 같은 보험금(보상금)을 준다고 가정할 때 보험사들은 앞으로 수익률이 낮을 것으로 예상할수록 보험료를 더 받아야 한다는 결론이 나옵니다. 저금리 상황이 지속되면 예상수익률을 보수적으로 책정하는 기조가 유지된 영향으로 예정이율을 0.25%포인트 내리면 통상 보험료는 5~10% 오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삼성생명도 다음달 4월이나 5월 중 금리확정형 종신보험의 예정이율을 2.25%에서 2.00%로 인하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한화생명은 7월 개정이 유력합니다

동양생명도 다음달 4월 1일자로 대표금리 확정형 종신보험의 예정이율을 2.5%에서 2.25%로 낮춘다고 합니다.
미래에셋생명은 5월 금리확정형 및 금리연동형 종신보험의 예정이율 인하를 검토중이라고 합니다.
흥국생명도 5월에 대형 생보사와 비슷한 수준의 예정이율 변경을 검토하고 있다고 합니다.
시중금리 변동에 영향이 적은 손보사들은 중소형 보험사를 중심으로 장기보장 성인보험 경험위험률 조정에 따른 보험료 인상을 준비 중입니다.’경험위험률’이란 보험가입자의 위험률(사망률, 사고율)과 평균수명 등을 예측한 수치로 보험개발원의 참조요율에 보험사 통계를 더해 산출하는 것을 말합니다. 통상 여러 담보 중 보험금(보상금) 지급이 많았던 담보의 위험률이 상향 조정됩니다. 보험사가 자율적으로 위험률을 조정할 수 있게 된 것은 2016년 4월 이후입니다. 2016년 이전까지는 3년마다 위험률 개정을 통해 보험료를 수정해야 했습니다.

다음달부터는 MG손해보험의 위험률 개정이 예정된 롯데손해보험도 다음달 위험률 개정을 할 것으로 예상되는 7월에는 한화손해보험이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 조정에 나설 전망이라고 합니다. 손보사의 경우 최근 3년간 대형 보험사를 중심으로 리스크 조정이 이뤄져 왔기 때문에 올해는 중소형 보험사 차례라고 보고 있습니다.지난해에 이어올해까지 위험 조정이 겹친 손해 보험 회사는 사내에서 손익 관리의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합니다 지난해 4월 메리츠 화재·한화 손해 보험·흥국 화재, 10월에는 KB손해 보험 11월에는 메리츠 화재 등이 위험률 개정을 실시했습니다 삼성 화재는 2019년 10월 이후 위험률 개정이 없었습니다위험률 조정 또는 경험위험률, 예정이율 등에 따라 보험료가 인상되더라도 인상전 비갱신형으로 가입한 보험료는 오르지 않고 가입시점의 보험료가 그대로 유지됩니다감사합니다。#청주보험 #4월보험료인상 #예정이율인하 #보험료인상 #위험률조정 #경험위험률 #경험생명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