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4대 보험료율 인상(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루멘이다. 2023년 신해부로 변경된 4대 보험료율에 대해 알아보자! 기존 급여에서 연봉 인상이 안 되면 합산 공제액 단위가 커지고 있고 각종 인플레이션으로 물가까지 치솟았기 때문에 직장인들의 경제적 고충은 상당하다! 이미 4대 보험 적용 연도별 실수령액에 대한 자료는 지난 게시물에서 참고하길 바라며 이번에는 직장인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의 변화를 정리해봤다.국민연금료: 소득총액×4.5% (소득총액은 상한액 553만원~하한액 35만원) 건강보험료:수가월액×3.545%장기요양보험료:건강보험료×12.81%고용보험료:소득월액×0.9%(기업 규모와 관계없이 2022년 7월부터 0.9%로 0.1%포인트 인상)2023년 4대보험 국민연금 요율2023년 국민연금 요율은 별도의 변동 없이 9%(매년 동일)로 책정돼 근로자(4.5%)와 사업주(4.5%)가 각각 절반으로 동일하게 부담한다.(연금보험료=기준소득월액X9%(연금보험료율))2023년 4대보험 국민연금 요율*기준소득월액(국민연금의 보험료 및 급여산정을 위해 가입자가 신고한 소득월액에서 천원 미만을 절사한 금액) 기준소득월액 상한액과 하한액은 국민연금 전체 가입자의 평균소득을 3년간 평균한 값에 연동하여 매년 7월 변동!(최근 변경금액)(2019년 7월 1일~2020년 6월 30일) 기준 하한액은 310,000원, 상한액은 4,860,000원(2020년 7월 1일~2021년 6월 30일) 기준 하한액은 320.1,000,000원, 상한선은 2,000원, 2022년 7,000원. ~ 2023년 6월 30일) 기준 하한액 350,000원, 상한액 5,530,000원 (근로자 납부금액 최고 248,850 vs 최저 15,750원)2023년 4대 보험 건강보험료율건강보험료율은 매년 소폭 상승했고 세전 금액에서 공제되는 금액도 늘었다.(부과체계 2단계 개편으로 인한 피부양자 탈락은 별도 이슈) 2023년 건강보험료율은 7.09%로 결정되며, 근로자와 사업자 모두 각각 절반을 급여액에서 공제 후 지급받는다.2021년 4대 보험건강보험료율(최근 3년 변화)□ 건강보험료율(2023): 1.49% 인상○직장가입자 건강보험료율: 6.99%(2022년)→7.09%(2023년) – 보수월액보험료(월): 보수월액×보험료율(7.09%) ※근로자와 사용자가 각각 50%씩 부담 – 소득월액보험료(월): 소득월액×7.09% ※소득월액={(연간 보수외소득-2,000만원)×12개월 평가율2023년 4대보험 장기요양보험료율장기요양보험제도는 고령층/노인성 질병 등으로 인해 일상생활을 혼자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신체활동 또는 가사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를 사회적 연대원리에 따라 제공하는 사회보험제도로 산출방법은 ‘건강보험료율 7.09%×장기요양보험료율 12.81%’이다.2023년 4대보험 장기요양보험료율2023년 4대 보험 고용보험료율고용보험은 근로자가 실직한 경우 기초생활에 필요한 자금이나 구직활동에 필요한 급여와 직업능력 개발을 지원하는 사회보험 중 하나다. 2023년 고용보험료율은 기존 1.6%(근로자 0.8%, 사업주 0.8%+@)에서 2022년 7월부로 인상된 1.8%(근로자 0.9%, 사업주 0.9%+@%)로 2023년까지 유지될 예정이다.2023년 4대 보험 고용보험료율2023년 4대 보험 산재보험료율산재보험은 근로자를 산재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사회보험제도로, 근로자와 가족의 생활보장을 위해 국가가 책임지는 제도다.산정요율 방식은 고용보험의 1000분의 30 범위 내에서 고용안정, 직업능력개발사업의 보험요율 및 실업급여의 보험요율로 구분 및 결정하며, 고용안정, 직업능력개발사업의 보험요율은 ‘사업단위’로 결정되는 것이므로, 해당 사업주가 실시하는 ‘모든 사업’ 규모(법인, 단체, 기업 등)로 결정(단, 국외 현지에서 급여가 지급되는 사업은 제외)하기 때문에 기업 규모를 판단하기 위해 상시 근로자 수는 각 사업장의 근로자 수를 모두 합한 수를 기준으로 합니다. *2023년부로 사업 종류별 산재보험료율이 다르게 적용(아래 표 참조)되며, 전액 사업장이 부담(평균 1.43%)한다.첨부파일 2022년_산재보험요율표.pdf파일다운로드내 컴퓨터저장네이버 MYBOX에 저장2023년 4대보험 적용 최저임금 실수령액2023년 최저시급은 9620원으로 209시간 월급으로 계산하면 2,010,580원이 될 정도로 인상폭이 이어지고 있다. 만약 월급 200만원을 가정해보면 4대 보험공제금은 아래와 같고, 모든 공제금액을 제외한 실수령액은 180만원 수준으로 지금이 된다.2023년 4대보험 적용 최저임금 실수령액사업체를 운영하거나 경리를 담당할 경우 국민연금과 건강보험(건강보험료/장기요양보험), 그리고 고용보험(실업급여)과 산재보험까지 2023년 기준요율을 월소득란에 기입하면 자동 계산되는 엑셀표를 재배포하고자 하니 하단 파일 비밀번호가 필요하면 댓글 필수!!사업체를 운영하거나 경리를 담당할 경우 국민연금과 건강보험(건강보험료/장기요양보험), 그리고 고용보험(실업급여)과 산재보험까지 2023년 기준요율을 월소득란에 기입하면 자동 계산되는 엑셀표를 재배포하고자 하니 하단 파일 비밀번호가 필요하면 댓글 필수!!첨부파일 2023년_4대_보험료엑셀_계산_양식(뉴).xlsx 파일다운로드내 컴퓨터저장네이버 MYBOX에 저장네이버 MYBOX에 저장이상 2023년 기준 4대 보험의 인상요율에 대해 자세히 살펴봤다.(기타 2023년부로 식대비 비과세는 10만원에서 20만원 상향)이제 전년 대비 급여 인상이 없으면 매년 인상되는 4대 보험료율로 인해 전년도보다 받는 금액도 자연스럽게 경감되는 상황이 발생하면서 그만큼 정급여 이외의 부수적인 경제활동을 하는 사람들 또한 점점 늘어나고 있다. 갈수록 경제가 어려워진다는 말은 매년 반복되는 가운데, 전체적인 시장 상황도 좋지 않아 걱정이 크겠지만, 직장보다는 꼭 자신만 잘할 수 있는 직업을 골라 스스로 레벨업 해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2023년 연봉별 실수령액표[2023년 연봉 실수령액] 세전 vs 세후 월급 실수령액표(Ft.최저임금) 루멘이다. 2023년 연봉의 실수령액을 알아보자! 우선 4대 보험 중 국민연금은 9%(근로자 4.5%+사업주 4.5%).blog.naver.com[2023년 연봉 실수령액] 세전 vs 세후 월급 실수령액표(Ft.최저임금) 루멘이다. 2023년 연봉의 실수령액을 알아보자! 우선 4대 보험 중 국민연금은 9%(근로자 4.5%+사업주 4.5%).blog.naver.com[2023년 연봉 실수령액] 세전 vs 세후 월급 실수령액표(Ft.최저임금) 루멘이다. 2023년 연봉의 실수령액을 알아보자! 우선 4대 보험 중 국민연금은 9%(근로자 4.5%+사업주 4.5%).blog.naver.com

error: Content is protected !!